[바이오번역 한경바이오인투] SK, 먹는 코로나 치료제 위탁생산
페이지 정보
작성자바이오인투 작성일 21-11-17 08:26본문
<한경바이오인투는 (주)한국경제신문이 운영하는 제약, 임상, 의학, 약학 분야에 특화된 바이오산업 전문 번역업체입니다.>
SK그룹 지주회사인 SK㈜는 16일 애널리스트와 기관투자가 대상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동훈 SK㈜ 투자센터장은 “보통 의약품 개발 기간은 5년인데 코로나19는 2년 안에 백신이 나왔고 최근 치료제가 승인받기 시작했다”며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사가) 어디라고 밝히지는 못하지만, 기본적으로 메이저 업체와 일하고 있다”고 했다.
SK㈜는 의약품 생산 전문 자회사 SK팜테코의 미국 법인을 통해 코로나19 치료제 생산을 추진 중이다.
이 계약이 성사되면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도 국내 기업이 위탁생산한다. 코로나19 백신은 SK바이오사이언스, 삼성바이오로직스, 휴온스 등이 국내에서 위탁생산 중이다.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를 허가받은 국내 기업은 아직 없다.
SK㈜는 이날 바이오의약품 CMO 분야에서 2025년 안에 세계 5위권에 진입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미국 CMO 기업인 CBM의 지분 인수 작업을 연내 마무리하기로 했다.
먹는 코로나 치료제 위탁생산
SK가 2018년 미국 의약품 위탁생산(CMO) 기업인 앰팩을 인수했을 때만 해도 바이오·제약 분야에서 SK의 성공을 예상한 이는 많지 않았다. 이 시장에선 후발주자인 국내 기업이 미국 CMO 기업을 사들이는 건 무리수라는 시각도 있었다.
3년이 지난 지금 SK는 제약사들의 중심 무대인 미국에서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생산을 맡을 후보로 떠올랐다. 16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SK는 자회사 SK팜테코의 미국 법인을 통해 미국 화이자와 머크(MSD)가 각각 개발한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의 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2025년까지 유전자·세포치료제 CMO 시장에서 세계 5대 기업 반열에 오르겠다는 청사진도 내놨다.
SK팜테코가 추진 중인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위탁생산은 미국 보건당국이 방역 차원에서 확보하려는 물량의 일부다. SK팜테코는 미국 법인인 앰팩을 통해 지난해 5월 미 보건복지부가 발주한 필수의약품 확보사업에 참여했다. 비영리법인인 플로(Phlow)가 이끄는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방식이었다.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예방대응본부와 플로가 의약품 공급 계약을 맺은 가운데 SK팜테코도 코로나19 치료제 생산을 담당하게 됐다.
SK는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동훈 SK㈜ 바이오투자센터장은 “기밀유지 조항 때문에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없지만 초기 제형 개발 단계부터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SK는 이날 유전자·세포치료제 CMO 사업 계획도 함께 발표했다. SK는 CBM 인수를 위한 독점 협상을 진행 중이다. 지난 3월 프랑스 유전자·세포치료제 CMO 기업인 이포스케시를 인수한 뒤 8개월 만에 이뤄지는 지분투자다. 계약이 성사되면 SK에서 바이오의약품 CMO 사업을 담당하는 SK팜테코가 투자한 해외 CMO 기업은 모두 네 개로 늘어난다.
유전자·세포치료제는 세포 유전자를 개량해 암, 유전병 등을 치료하는 데 쓰는 개인 맞춤형 치료제다. 혈액암을 완치하며 ‘꿈의 항암제’로 불렸던 키메릭항원수용체 T세포(CAR-T) 치료제가 대표적이다. 미국, 유럽에서 개발 중인 바이오의약품의 절반이 유전자·세포치료제다. 영국 시장조사기관 딜로이트에 따르면 유전자·세포치료제 시장은 2025년까지 연평균 25% 성장해 항체치료제 시장을 제치고 바이오의약품 중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할 전망이다.
SK가 CBM을 점찍은 건 공정 개발, 원료 및 완제의약품 생산 등 유전자·세포치료제 생산의 모든 과정을 처리할 수 있어서다. 유전자·세포치료제는 핵심 원료인 플라스미드 DNA와 이 DNA를 탑재하는 바이러스 전달체 등이 필요해 생산이 까다롭다. CBM이 미국 필라델피아 바이오클러스터 셀리콘밸리에 본사를 두고 있다는 점도 고려됐다. 셀리콘밸리에는 100여 개 대학병원, 1700여 개 제약사가 몰려 있다.
SK는 2025년 바이오의약품 CMO 부문에서 연매출 1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기존 합성의약품 CMO 사업을 더하면 연매출 2조원을 내겠다는 얘기다.
이에 맞춰 CBM의 생산 능력을 대폭 늘리기로 했다. 2025년까지 6만5000㎡ 규모 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 생산 설비를 구축할 예정이다. 단일 부지로는 세계 최대 규모 유전자·세포치료제 생산 공장이 된다. 2000명의 추가 직원 채용 계획도 세워뒀다.
항체치료제가 아니라 유전자·세포치료제에 승부수를 던지는 데엔 장기적인 안목에서 다음 먹거리를 찾겠다는 그룹 차원의 복안이 담겨 있다. 항체치료제 CMO 사업은 인도·중국 기업 등이 참여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반면 유전자·세포치료제는 CMO 시장이 이제 형성되는 단계다. 스위스 론자, 미국 카탈란트와 서모피셔 등이 두각을 나타내는 정도다. 4년 안에 이들 기업과 비슷한 규모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