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번역 한경바이오트랜스] "코로나 진단·치료·방역까지…의료 AI 활용해 융합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바이오트랜스 작성일 20-08-06 09:17본문
<한경바이오트랜스는 (주)한국경제신문이 운영하는 제약, 임상, 의학, 약학 분야에 특화된 바이오산업 전문 번역업체입니다.>
“그동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에 의료용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연구는 대부분 진단에 머물렀습니다. 앞으로 융합연구를 통해 코로나19 치료 결과를 예측하는 것은 물론 동선파악 등 방역에도 AI를 적극 활용할 계획입니다.”
코로나19 감염 대응을 위한 의료AI 컨소시엄 창립준비위원장을 맡은 최병욱 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교수(사진)의 말이다. 그는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해 환자를 원격 감시 모니터링하고 확진자 발생 데이터를 분석해 코로나19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컨소시엄에는 AI를 활용해 코로나19를 극복하자는 데 뜻을 모은 전문가 20여 명이 참여했다. 의대는 물론 이공계 교수들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연구소, 네이버(313,500 0.00%) 루닛 카카오(370,500 0.00%) 뷰노 등 기업도 힘을 합쳤다. 다음달 정식 출범한다.
미국은 북미방사선학회, 유럽은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AI를 활용해 코로나19를 극복하는 단체가 출범했다.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서다. 최 교수는 “국내도 흉부영상의학회에서 코로나코호트(KICC-19)를 구축해 가동하고 있지만 환자가 많지 않은 민간 대학병원들이 주축이 되다 보니 쌓인 데이터는 많지 않다”고 했다.
최 교수는 국내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 시판 허가를 받은 의료용 AI의 의료 현장 활용도를 높이는 연구도 하고 있다. 올해 6월 말 기준 국내에 허가받은 의료용 AI는 15개 회사 36개 제품에 이른다. 하지만 건강보험 진료비를 받을 수 있는 제품은 없다. 최 교수는 “아직 의료용 AI 제품의 한계가 크다”고 했다.
환자그룹 A와 환자가 아닌 그룹 B 등으로 정돈된 실험실 환경에서는 AI가 병변을 잘 가려내지만 실제 진료 환경에서는 질환과 비슷한 병변까지 질환으로 구분하는 일이 흔하다.
AI가 암에 걸리지 않은 사람을 암이라고 분류하면 의사는 고민에 빠진다. 의사가 소신대로 환자를 암 환자가 아니라고 진단했다가 실제 암 판정을 받으면 그에 대한 책임은 고스란히 의사 몫이 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의사는 추가 검사를 하게 되고 이는 결국 불필요한 의료비를 지출하는 역효과를 낼 수 있다. 최 교수는 “의사들이 AI 개발에 많이 참여해야 이런 간극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정확도뿐 아니라 비용 대비 효과를 의학적으로 증명하는 과정이 같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